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꾹! 부탁드려요!
학습연구년에 관한 안내 공문은 보통 11월 중에 옴.
올해 가장 큰 변화를 세 가지 안내하자면,
1. 기피지역인 부산 서부권 학교 근무권자에게 학습연구년을 주기 위해 총 인원이 증가함
2. 담임, 부장 경력 이외에 '기획' 경력(어떤 기획을 했던 무관) 인정
3. SW/AI 교육 분야 신설
이라고 할 수 있다.
공문은 함부로 올릴 수 없으니
에듀파인에서 공문 검색해서 보시길. (키워드 "연구년")
읽어보면 감이 오겠지만
공문이 에둘러 알려주는 것은 다음 두 가지임.
일단 서부권 선생님이 유리하겠구나
(실제로 서부권 선생님이 많이 합격하심)
젊은 교사가 지원한다면 무조건 기획업무나 담임을 해서 가산점을 채워야 겠구나
(총 5년을 채워야 함)
젊은 선생님들은 꼭 기억해 두시길.
기획도 가산점으로 인정해달라는 읍소는
5년내내 제가 도맡아 했습니다. (다른 분들도 그러셨는 지 궁금..)
블랙리스트 같은 거에 올라가는 거 아닌가 걱정도 했지만...
아무일도 안하는 부장 선생님들도 계시잖아요?
그런 분들도 점수 인정 받는데 온갖 업무에 시달리는
기획이 못받는다니 억울했습니다ㅠㅠ (네 맞습니다. 저 기획 고인물입니다.)
(장학사님께 전화하기, 정보공개 요청, 교육감에게 말한다에 글 올리기 등등)
드디어 올해! 어쩐 일인지 반영이 되어 저도 정량평가 점수가 확보되었어요.
(누구신지는 몰라도 개선해주신 교육청 관계자 여러분 감사드립니다 ㅠㅠ 열심히 할께요!)
그렇다면 어느 영역을 지원해야 할까
아주 간단하게 이야기 하자면
석사 또는 박사 학위 소지자로 5년 내내 부장을 도맡아 했으며
경력이 15년 이상인데다가
수업발표대회 2위 이상의 성적을 가졌다면,
학력향상 도전 가능 (저도 여기 지원해서 계속 불합격 되었어요)
(그러나 매우 경쟁률이 높은 분야라 면접에서 말 한 마디만 잘못해도 불합격)
생활지도 분야에 아주 오~랫동안 몸담아 오신 분으로
교육청의 생활지도 분야 일도 꽤 하셨고
역시 석사/박사 학위 소지자로 경력 15년이상,
수업연구/발표대회 등의 각종 교직관련 수상실적이 있으신 분은
인성교육 분야 도전 가능
(역시 경쟁률 매우 높고, 생활지도 전문가 선생님들이 대거 지원하심)
SW/AI분야는 올해 신설되어 사실 기준이 없음.
올해 중등 2명 선출에 2명만 지원함.
(AI관련 주제라고 해도 학력향상으로 지원 가능하기 때문에 그러한 듯)
이런 소문은 다 돌기 마련이므로
2024학년도는 아마도 SW/AI 분야가
매우 치열해질 것임.
특히 Chat GPT를 주제로 지원을 많이 하지 않을까 예상
애초에 서부권 교사에 가산점 다 채우는 것 아니면
당해 지원자가 많을 경우 떨어질 가능성 높음
교육정책연구의 고교학점제는 연구부장이나 학년부장처럼
교육과정을 자주 다뤄본 사람이 아니라면 애초에 지원을 권하지 않음
교육과정 컨설팅을 위한
학교 출장도 잦고, 정말 일해줄 사람이 필요한 영역!
(연구년제 같지 않은 연구년 ver. 1)
학교문화개선은 '다행복학교'의 영역.
다행복학교 경험자가 아니면 선발되기 어렵고,
선발된다고 해도 정말 학교를 변화시키겠다는 뜻을 가진 분이 아니시라면
매우 괴로운 분야임. (연구년제 같지 않은 연구년 ver. 2)
고교학점제와 마찬가지로 출장이 어마무시하게 많고
선발된 분들을 뵈어보니 초초~ 능력자분들만 계심.
부산미래교육은 아무래도 계획서가 미래교육이나
교육청의 중점과제를 해결하겠다는
명석함이 보여야 할 듯. (실제 선발되신 분 매~~~우 똑똑하심!)
그나마 정책연구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업무가 적은 편이지만
논문 써보신 분이 아니라면 아무래도 보고서 낼 때
어려움이 있을 듯. (아무나 도전할 분야는 아닌 듯)
결론.
젊으신 분이라면 SW/AI, 미래교육
가산점이 좀 있으시다면 학습/인성 분야
원래 하던 일이 다행복이라면 학교문화개선
연구부장/학년부장으로 노하우가 있다면 고교학점제
되겠습니다.
글이 길어져서 학습연구년 서류평가는
다음 글에서 다뤄보겠습니다.
'2023 부산 학습연구년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학습연구년 면접 준비는 이렇게! (0) | 2023.06.04 |
---|---|
이어지는 연구년 서류 전형에 관한 충고 (0) | 2023.06.01 |
학습연구년 1차 서류전형 전형 전격 해부 (0) | 2023.05.31 |
교사 학습연구년의 심사 배점 기준 (0) | 2023.05.30 |
2023 부산시교육청 학습연구년제의 시작 (0) | 2023.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