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 부산 학습연구년제

학습연구년제 계획서 주제 정하기

by 노냥집사 2023. 6. 8.
728x90
반응형

계획서는 30점 만점으로 심사 기준은 다음과 같다. 
 
․연구 목적의 타당성
․연구 활동의 다양성, 방법의 적절성
․연수 후 학교교육 기여도
․경비 사용계획의 적절성
 
학습 연구년제 계획서를 심사하는 분은
아마도 교육청 관계자 분들이나 학교 관리자 분들일 것이다
(2차 면접에서도 그런 분들이 면접관으로 오신 듯 했으므로)
 
심사하시는 분들은 수~많은
계획서를 읽어본 후 위 기준에 따라 직관적으로 점수를 부여할 것이기 때문에 
1. 연구 목적은 부산교육계획의 당면 과제 키워드를 적절하게 강조해서 반영해야 하고
2. 연구 활동은 나중에 어떻게 진행하든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것임을 어필해야 하며
(예: 타시도의 사례 연구도 같이 하겠다, 다양한 최신기술을 사용하겠다던지) 
3. 연수 후에 학교 교육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 학생/교사/기관 측면에서 장점을 열거해야 하고 
4. 경비는 오롯이 연구에 매진하겠다는 느낌의 예산 항목으로 짜는 것이
점수 기준에 부합할 것이라 본다. 
 
개인적 의견이지만 해외를 많이 다니겠다는 느낌의 계획서는 지양하는 것이 좋다. 
아무래도 놀러다니려고 작정한 사람처럼 보일 가능성이 크므로 
차라리 유명한 타시도 교육청의 정책과제 조사라던지 
유망한 기업/기관을 방문하는 것을 첨가하는 것이
더 진정성 있어 보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최근 교육관련 신문을 꾸준히 읽으며
적절한 기관을 메모해 두는 것을 권함)
 
연구계획서 그대로 실행하지 않으면
절대 안된다는 규정이 있는 것도 아니고,
계획서를 통해 응시자의 가능성과 연구능력을 검증하는 것이니 
최대한 진정성 있게 쓰되
화려하게(?) 열정을 보여주는 것이 좋다.
계획서에 컬러를 사용할 수 없으니
깔끔한 표와 강렬하거나 참신한 키워드로 어필하고
소논문에 준해 작성하되
자신만의 색깔을 집어 넣는 것이 중요할 듯 하다.
 
그러려면 연구과제를 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정책연구소 연구과제 목록에 이미 나온 것은 제외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교육청 홈페이지에서 주요 정책을 먼저 정리하고
최근 1~2년 연구년제 결과보고서를 교육청 정책과 비교하여
연구년 주제로 다뤄지지 않은 항목을 다루는 것이
시의성에 맞을 것이라 본다. 
 
그렇지만 사회적으로 너무 이슈가 된 것(예:ChatGPT)은
누구나 다 소재로 쓸 것이라 생각해야 함. 

 

덧붙여 팁을 드리자면
메타버스, 디지털 도구, 독서교육 등의
자주 우려먹은(?) 소재는 무조건 피해야 함. 
참고하시라고 링크 걸어둡니다. 

 

정책연구소 연구 목록

 

교육청 홈페이지
 
특별연구년 보고서 자료

 

다음 글에서는 계획서 각 항목별 작성 전략을 소개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